반응형
K패스 신청 바로가기(클릭)
K-패스로 교통비 절약하자
K-패스는 대한민국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로, 대중교통 대표 수단인 버스, 지하철, 그리고 지불 수단인 카드를 형상화한 기본적인 사각형 로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K”와 “스”의 끝을 둥글린 라인으로 연결하여 전국의 지자체를 하나로 묶고, 대한민국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응원하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K-패스 주요 정보
항목내용
지원 대상 |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세 이상 주민 |
적립 수단 |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공항철도 등 |
지급 기준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 |
적립률 | 일반: 20%, 청년: 30% (만 19 ~ 34세), 저소득층: 53% |
참여 지역 | 전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K-패스 혜택 제공 |
지원 대상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세 이상 주민은 모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참여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립 수단
적립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은 교통수단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버스 (광역버스 포함)
- 도시·광역철도 (신분당선, GTX 등 포함)
- 공항철도
다만, 시외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은 포함되지 않으며,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도 적립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급 기준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
- 가입 첫 달: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혜택이 제공됩니다.
- 1일 최대 2회 적립: 30분 이내 승하차 시 1회로 취급됩니다.
- 월 60회 이상 이용 시: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
- 20만원 이상 이용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지급됩니다. (경기, 인천 제외)
K패스 신청 바로가기(클릭)
적립률
대상적립률
일반 | 20% |
청년 | 30% (만 19 ~ 34세) |
저소득층 | 53%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 청년은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34세가 해당되며,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 대상입니다.
- 저소득층 적립률은 MY > 저소득정보 화면에서 신청 후 적용 가능합니다.
K-패스 참여 지역
K-패스는 대한민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용 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 회원 전환: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패스로 회원 전환 시, 기존 카드와 계정을 그대로 사용하여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환 기간: 2024년 6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전환이 가능합니다.
- K-패스 적용: 2024년 5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K-패스 카드 신규 가입
-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일정 비율을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 신규 가입자: K-패스 회원 가입 후 전국 대중교통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신청 바로가기(클릭)
회원가입 절차
-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화면으로 진입
- 카드 번호 입력: 발급된 카드의 15~16자리 번호를 입력 후 유효성 체크
- 본인 인증: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로 인증 진행
- 주민등록번호 입력: 주소지 검증을 진행
-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필수 약관 동의 후 가입 완료
홍보영상
K-패스 이용 방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홍보 영상이 제공됩니다. 영상을 통해 K-패스의 다양한 혜택과 사용 방법을 간편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K-패스를 활용하여 대한민국 대중교통을 더욱 스마트하게 이용해보세요!
반응형
'정책 >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2025년 최신 안내문 (2) | 2025.02.28 |
---|---|
연말정산환급금 2025년 신청 방법 꿀팁 알려드림 (1) | 2025.02.23 |
최신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혜택과 사용법 총정리 2025년 (2) | 2025.02.22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지금 바로 알려드림 최신 2025년 정보임 (0) | 2025.02.21 |
전국 민생회복지원금 신청방법 총 정리 (2025년 최신ver) (3)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