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평/뉴스이슈

라붐 율희 이혼후 양육권 포기, 양육권의 법적 절차는 어떻게 될까?

by 흑자surplus 2025. 2. 4.
반응형

 

 

 

 

 

최민환 율희의  이혼후 1년 이 지나 방송에 모습을 드러낸 율희





이혼후 양육권을 포기했다고 하는데





이혼후 양육권 분쟁은 어떻게 될까? 법적 절차를 알아보자








이혼 후 양육권 분쟁: 법적 절차와 고려 사항







이혼 후 가장 민감한 문제 중 하나가 양육권 분쟁이다. 양육권은 단순히 아이를 누가 키울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권리와 아이의 복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사안이다.







 대한민국에서 이혼 후 양육권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할 경우, 법적 절차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자세히 알아보자

 

 


1. 양육권의 의미와 종류

양육권은 부모가 자녀를 보호하고 교육할 법적 권리와 의무를 의미합니다. 대한민국 민법에서는 양육권을 다음과 같이 나누고 있다.







📌 1) 친권 (親權, Parental Authority)

자녀의 양육, 교육, 재산 관리, 법적 대리권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권리

친권자 = 양육권자가 되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 2) 양육권 (養育權, Custody)

자녀를 직접 양육할 권리와 책임

실질적으로 자녀와 함께 생활하면서 보호하고 교육하는 역할



📌 3) 면접교섭권 (面接交涉權, Visitation Rights)

양육권을 가지지 않은 부모가 자녀를 만나고 교류할 권리

법원에서 일정한 면접교섭 일정을 정할 수 있음



✅ 팁:

➡️ 친권과 양육권은 다를 수 있으며, 법원은 아이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양육권자를 결정


2. 양육권 분쟁 발생 시 고려 요소

법원은 양육권을 결정할 때 부모의 의사보다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됨. 따라서 아래 요소들이 중요한 판단 기준









📌 1) 부모의 양육 능력

경제적 능력 (안정적인 소득과 거주지)

정신적·육체적 건강 상태

아이를 양육할 환경 (가정 내 지원 시스템)





📌 2) 자녀와의 유대 관계

부모 중 누가 아이와 더 오랜 시간 함께했는가?

평소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원만한가?

자녀의 성장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이 어땠는가?







📌 3) 자녀의 의사 (만 13세 이상)

만 13세 이상이면 자녀의 의견이 법원에서 중요하게 고려됨



📌 4) 형제·자매와의 분리 여부

형제·자매가 함께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우선 고려함



📌 5) 다른 가족(조부모, 친척)과의 관계

조부모나 친척이 양육을 도와줄 수 있는지 여부도 고려됨







✅ 팁:

➡️ 부모가 양육권을 주장할 경우, 안정적인 경제력뿐만 아니라 아이와의 유대 관계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

➡️ 부모가 양육권을 가지지 못하더라도 면접교섭권을 통해 자녀와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다

 

 

 


3. 양육권 분쟁 시 법적 절차



양육권 분쟁이 발생하면 법원의 판결에 따라 양육권이 결정된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돈이 중요






📌 1) 협의 이혼 시 양육권 결정 (민법 제837조)

부부가 양육권자와 양육비를 협의하여 결정

협의가 되지 않을 경우, 법원에 양육권 지정 신청 가능



📌 2) 재판 이혼 시 양육권 결정 (민법 제837조 2항)

부부가 합의하지 못하면 법원이 직접 판단하여 결정

자녀 복리의 원칙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양육권자 결정



📌 3) 양육권 변경 신청 (민법 제837조 4항)

이혼 후에도 양육권을 변경할 수 있음

양육자의 사망, 재혼, 경제적 파탄, 학대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법원에서 양육권을 다시 결정할 수 있음



✅ 팁:

➡️ 이혼 후에도 상황이 변하면 법원을 통해 양육권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4. 양육비 지급과 법적 강제 조치

양육권을 가지지 않은 부모는 자녀를 위해 양육비를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 1) 양육비 결정 방법

협의 이혼 시: 부부 간 합의하여 양육비 액수 결정

재판 이혼 시: 법원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과 자녀의 필요를 고려하여 양육비 액수 결정



📌 2) 양육비 미지급 시 강제 조치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부모에게는 다음과 같은 법적 제재가 가해질 수 있다





✅ 양육비 강제집행 가능

법원에 양육비 직접 지급 명령 신청 가능 (급여 압류 등)

재산 압류, 강제 집행 신청 가능





✅ 양육비이행관리원(여성가족부) 이용 가능

국가가 대신 양육비를 지급하고, 미지급 부모에게 구상권 행사





✅ 출국금지, 신용불량자 등록

양육비 미지급 부모에 대한 출국 금지 가능

신용불량자 등록 및 사회적 불이익 조치 가능







✅ 팁:

➡️ 양육비 지급이 원활하지 않다면, 법적 조치를 통해 강제 집행할 수 있다

➡️ 양육비이행관리원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다 신속한 해결이 가능하다

 

 


5. 이혼 후 양육권 분쟁 사례









📌 사례 1: 경제력이 부족한 아버지가 양육권을 획득한 경우



부부가 이혼하면서 어머니가 경제력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양육권을 주장했으나,

아버지가 자녀와 더 오랜 시간 함께 생활하며 정서적 유대가 깊었다는 점을 강조해 양육권을 획득한 사례





📌 사례 2: 양육권 변경 신청이 받아들여진 경우



어머니가 양육권을 가졌지만 아이를 방치하고 재혼 후 학대가 의심되어

아버지가 법원에 양육권 변경 신청을 하여 양육권을 가져온 사례





📌 사례 3: 양육비 미지급으로 강제 조치된 경우



이혼 후 아버지가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아,

어머니가 법원에 강제집행을 신청하여 급여 압류 및 출국 금지를 요청한 사례



✅ 팁:

➡️ 양육권 분쟁은 경제적 능력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관계, 안정적인 환경이 중요

➡️ 양육비 미지급 문제는 적극적인 법적 대응이 필요







양육권 분쟁은 자녀의 복리가 최우선이다



이혼 후 양육권은 부모의 권리가 아니라, 자녀의 복지를 위한 결정이다

부부 간 감정적 대립을 줄이고 아이의 입장에서 가장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 양육권 분쟁이 예상될 경우, 변호사의 조언을 받아 법적 절차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양육비 미지급 문제는 법적 강제조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여자가 이혼을 하면 여자가 많이 고생해야 된다. 여자 혼자의 몸으로 세아이를 키우는것은 



굉장히 어려웠을것이다 









특히나  긴시간을 집안에서 아이만 키웠기에 



경제적으로도 양육권 포기할수 밖에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혼후 새 출발하는 율희의 앞으로의 행보를 응원을 보낸다  

반응형